얹어쓰는 키보드 NuPhy NuType F1 개봉기
또 갑자기 LP 키보드 병에 걸려서 이거저거 찾다가
KBParadise의 Flat60 적축을 주문했는데, 품절 ㅜㅜ
청축은 재고가 있지만, 시끄러운 건 쓰기 싫다.
그러다 언젠가 봤었던 쪼꼼 특이한 컨셉의
NuType F1이 떠올라서 일단 주문.
그리고 Morgrie의 RKB 68도 또 지르고..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브랜드 이름만 찍혀있는 시컴씸플 빡쓰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근데 바닥은 반전 ㅋㅋㅋㅋㅋ 뭐냐 이거ㅋ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아무튼 까보자.
열자마자 반겨주는 종이 쪼가리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모드 전환이랑 단축키 등등등등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펑션키 조합 등등등등
이거슨 내가 나중에 보려고 올려두는 거임ㅋ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케이블은 엄청 짧은 놈이랑 긴 놈 두 갠데
맥북 위에 올려두고 쓰는 약간은 독특한 컨셉이라
짧은 케이블은 고 때 사용하라고 넣어준 거임.
매뿍용이니만큼 단자는 양쪽 다 USB-C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꽤 고급진 둘둘말이 케이스를 준다.
이거 케이스 가격만 해도 꽤 나갈 듯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레이아웃은 이렇다.
빈포크 탭텍(링크)에서 대충 펑션 열을 잘라낸 모양새.
그리고 빻치는 1U짜리 오른쪽 쉬프트도 똑같다.
맥북에 터치 바가 없었으면 펑션 열도 살아있었을 텐데.
근데 딜리트 키는 왜 저 모양으로 디자인한 건지 의문이다.
그냥 사이즈 0.5U 더 키워서 빈 곳 없이 채우는 게
보기도 쓰기도 훨씬 더 좋았을 것 같은데?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케이스는 그냥 단순 두루마리는 아니고
자석식이라 아주 챡 달라붙는다.
이렇게 들어서 살살 털어도
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자성이 꽤 세다.
깜빡하고 사진을 빼먹었는데, 저기 좌측에
뺴꼼 보이는 빨간 게 전원/모드 스위치다.
USB-C 단자도 좌측에 이씀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알록에 달록에 이쁘장하긴 하눼.
역시 흰색을 고른 건 탁월한 선택ㅋ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이 바닥 국룰인 메탈 플레이트.
맥북 위에 올려두고 쓰라고 만든 물건이라
이렇게 바닥에 뽀ㅗ ____ ㅗ큐 모양의 구조물이 있다.
공홈에서는 맥북과 서피스 정도만 소개하고 있는데
정상적인 키 피치에 키가 독립식으로 되어있는
팬터그래프 키보드라면 대부분 얹어놓고 사용 가능할 듯.
지금도 K810 위에 올려놓고 타이핑하고 있다ㅋ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스페이스 바 앞에 LED 네 개가 박혀있는데
첫 번째는 배터리 인디케이터이고
나머지는 블루투스 1, 2, 3번 연결.
근데 이거 계속 켜져 있다. -____-
광량이 약해서 그나마 다행이지만,
그래도 역시 좀 거슬림.
DC-GX9 | 1/60sec | 20.0mm | ISO-200
카일 촉 (초콜릿) 갈축.
적축은 전에 헥스기어스 K950(링크)에서 써봤으니까.
근데 갈축이래도 구분감이 약하다. 그냥 적축 살 걸 그랬나.
예전에 써봤던 그 잘그락잘그락한 타감 그대로다.
그나저나 이 카일 촉 스위치나 프랄리 LP 스위치가
어디서 툭 텨나온 줄 알았는데, 체리 ML 스위치가 먼저였네.
정착 체리는 ML 버리고 다시 MX LP 스위치 만들었는데ㅋ
그래서 그런지 카일 촉 v2는 체리 MX LP처럼
십자 스템에 원형 실린더 스타일로 만들었더라.
어쨌든 LP 스위치 채용한 키보드가 좀 많아졌으면.
그러니까 75% 배열 좀 만들어달라고
DC-GX9 | 1/50sec | 20.0mm | ISO-200
흰색이라 상판이 뿌라스틱처럼 보이지만, 아무튼 알루미늄.
덕분에 보강판(상판) 울리는 소음이 살짝 난다.
근데 뭐 심한 건 아니니까 이 정도는 그냥 익스큐즈.
기본적으로 맥 레이아웃이지만, 윈도우 레이아웃으로 바꿀 수 있다.
근데 뭐 거창한 건 아니고 옵션-커맨드로 되어있는 걸
반전시켜서 윈도우의 시작-알트로 바뀌는 고런 정도.
근데 키보드 껐다 켜면 다시 맥 레이아웃으로 돌아감. 귀찮게스리.
그리고 딜리트가 찍혀있어도 기능은 백스페이스인데
Fn 키 조합을 해도 여전히 백스페이스로만 동작한다.
그리서 이 키보드는 딜리트가 읎다. -_____-
1.01 펌웨어부터는 껐다 켜도 마지막 설정을 기억한다.
매번 귀찮게 윈도우 레이아웃으로 바꿔주는 수고 안 해도 됨.
그리고 Fn+백스페이스도 딜리트로 동작하게 수정되었으며
또 윈도우 모드에서는 Fn 키와 CTRL 키가 바뀐다. 이거 굳.
ESC나 ~중 어느 걸 상위로 사용할지 변경할 수도 있고
Fn+위, 아래에 페이지 업, 다운키가 매핑되었다.
근데 이왕 하는 거 좌, 우에도 홈, 엔드 매핑 좀 해주지.
Fn+숫자키로 펑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
숫자 열을 펑션 열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.
타이핑하자마자 강려크한 스태빌 철심 어택에 기절할 뻔.
윤활이 개뿔도 안 돼 있어서 철심 소리 너무 심각했다.
그 때문인지 스페이스 바는 뻑뻑할 정도로 무거웠고.
그래서 일단 윤활을 하려고 키캡을 뽑았는데
스태빌 자체는 마제식인데, 사이즈가 엄청 작다.
덕분에 치간칫솔이 들어갈 틈이 없어서
그냥 막 떡바름. 글자 그대로 떡칠해버렸다.
그렇게 엔터는 꽤 잘 잡혔고, 캡스락과 우쉽은
조금 아숩지만 그럭저럭 쓸 만 한 정도까지는 잡았고.
근데 스페이스 바는 몬 짓을 해도 오른쪽 철심 소리가
도오저히 잡히질 않는다. 하다 하다 포기. 답이 읎다.
그리고 여전히 무겁다. 키캡이 얇아서 낭창낭창하던데
정 가운데를 눌러도 스태빌이 있는 다른 키보다 무겁고
중심을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급격하게 빡빡해진다. 엉망이다.
예전에 헥스기어스 K950도 이런 비슷한 문제가 있었는데...
키캡을 조금만 더 두껍고 단단하게 만들었더라면
전체적인 타감이 훨씬 더 좋았을 것 같은데.
이것만 아니었으면 나쁘지 않다고 평하려 했지만
스페이스 바가 너무 똥이라 좋은 평가를 할 수가 읎네.
끗.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씽패 7열 기계식 키보드라고? TEX Shinobi (시노비) 개봉기
씽패 7열 기계식 키보드라고? TEX Shinobi (시노비) 개봉기
2020.08.28 -
레이저의 첫 60% 포커 배열 키보드! 레이저 헌츠맨 미니 개봉기
레이저의 첫 60% 포커 배열 키보드! 레이저 헌츠맨 미니 개봉기
2020.08.21 -
신박한 콩? 애매한 콩? 갤럭시 버즈 라이브 개봉기
신박한 콩? 애매한 콩? 갤럭시 버즈 라이브 개봉기
2020.08.12 -
한 번 더 낚여보자. 한성 BK300 개봉기
한 번 더 낚여보자. 한성 BK300 개봉기
2020.08.03
비밀댓글입니다
저도 이거 구입해서 쓰는데 여기서 화이트 보니까 저도 화이트 할걸 그랬다는 생각이 드네요.
공감되는게 우측 쉬프트 빡치네요 ㅋ 델리트도 그러고보니 마저 채우지 왜 작게 했지 하는생각..백스페이스는 현재 백스페이스로 나와요. 델리트는 펑션키로 변경가능해졌네요. 손에 기름이 키보드에 잘 묻네요 ㅠㅠ
그래도 키감이 좋아요 대략 만족합니다.